![[꾸미기]NR-김지은.jpg](http://www.kwtimes.co.kr/n_news/peg/1811/thumb/d58bb5195ecce7128966c54fa5bd75d9_HQPVBGrcqbEcYo44UnA1vtdowdeN.jpg)
‘8 faces of the ‘so-called amnestic mild cognitive impairment’ based on neuropsychological battery– are they identical?‘라는 주제의 연구 내용은 유사한 수준의 기억성 경도인지장애(amnestic mild cognitive impairment) 환자 217명중에서 ▷언어적 기억력 과제에서만 이상을 보인 경우 ▷시각적 기억력 과제에서만 이상을 보인 경우 ▷두 가지 모두에서 이상을 보인 경우로 나누고, 또 그 각각을 세분화해 ▷등록 및 저장단계의 장애인지, 인출단계의 장애인지 등 총 8개 subgroup에 대한 비교분석을 진행했다.
그 결과 똑같이 '기억성 경도인지장애' 라는 진단을 받은 환자들이라고 하더라도, 어떤 유형의 기억장애에 들어가느냐에 따라 인지상태의 심각도가 다소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동지역에서 유일하게 규격화된 신경심리검사(Seoul Neuropsychological Screening Battery)가 가능한 강릉아산병원 치매클리닉은 지난 2017년 10월 신경심리실이 만들어진 이후 현재까지 370건의 신경심리검사를 시행했다.
신경과 김지은 교수는 “지난 1년간 모아진 본원 환자들의 신경심리검사 데이터만을 토대로 분석을 진행한 첫 번째 연구주제로 신경심리검사 후 단순히 '기억력에 문제가 있군요' 라고만 할 것이 아니라, 기억장애의 유형을 세부적으로 파악하면 환자의 예후추정과 치료적 방향에서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